전체 글(54)
-
EP3. 통장 쪼개기, 실패와 성공 사례 – ‘돈이 흐르지 않게 통제를 배운 과정’
돈을 모아야겠다 싶으면, 가장 먼저 듣는 말이 바로 이거다.“통장 쪼개세요.”근데 말은 쉽지, 해보면 은근 어렵다. 나도 처음엔 ‘통장을 여러 개 만들면 돈이 알아서 잘 모이겠지’ 했다가… 혼만 났다. 지금은 제대로 정착했지만, 그 사이 시행착오도 꽤 있었다. 오늘은 내가 직접 겪은 통장 쪼개기의 실패와 성공 사례를 나눠보려고 한다.실패 사례 1: 목적이 애매한 통장을 너무 많이 만들었다통장을 처음 쪼갤 때 ‘통장이 많을수록 전문성 있어 보인다’는 이상한 착각이 있었다.그래서 만든 게 이거다.고정비 통장생활비 통장투자금 통장비상금 통장여행자금 통장연간계획 통장단기목표 통장외식비 통장…문제는 이 통장들이 내 월급 수준과 맞지 않았다는 것이다. 각각에 5~10만 원만 넣고 나면 정작 실제로 쓸 생활비가 부족..
2025.06.09 -
EP2. 월급날 자동이체 루틴 만들기 – ‘신경 안 써도 돈이 모이게’
“돈 모으는 게 왜 이렇게 어려울까?”그 답을 찾기까지 3년이 걸렸다. 이유는 간단했다. 매달 돈을 모으겠다고 마음만 먹고, 정작 월급이 들어온 날 아무것도 안 했기 때문이다. 이걸 깨닫고 난 뒤, 가장 먼저 한 게 **‘자동이체 루틴 만들기’**였다.자동이체 루틴이 뭐냐면, 말 그대로 월급이 들어오는 순간부터 돈이 쪼개져서 빠져나가게 하는 시스템이다. 이걸 만들어두면 신경 쓰지 않아도 돈이 모인다. 단, 한 번 만들 땐 귀찮아도 디테일하게 설계해야 한다. 아래는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루틴이다.✔ 월급날 세팅된 자동이체 리스트1일 (월급 입금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1일 – 월급 입금회사에서 급여가 들어오는 날. 기준은 항상 1일이다.📌 2일 – 필수 저축 통장 자동이체청약통장 (10만 원)청약은..
2025.06.09 -
보고서 잘 쓰는 법, ‘일 잘한다’는 평을 듣는 첫걸음
직장에서 ‘일 잘하는 사람’이라는 평가는 어디서 시작될까요? 많은 직장인이 실무 능력, 일정 관리, 커뮤니케이션 등을 꼽겠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먼저 보이고 평가받기 쉬운 것은 보고서 작성 능력입니다. 보고서는 단순한 문서가 아닙니다. ‘내가 이 일을 어떻게 이해했고, 어떻게 정리했고, 무엇을 결론지었는지’를 상사에게 보여주는 일의 결과물이자 사고의 흔적이죠.하지만 막상 보고서를 써야 할 때면 무엇부터 써야 할지 막막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신입사원이나 보고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일수록 자꾸만 엉뚱한 방향으로 흐르거나, 내용이 두서없이 길어져 전달력이 떨어지곤 하죠. 이 글에서는 직장생활에서 바로 쓸 수 있는 보고서 잘 쓰는 실전 팁들을 공유해 보겠습니다.1. 목적부터 분명히 하자보고서를 쓰기 전에..
2025.06.08 -
성과 없이 바쁘기만 한 사람들, 왜 그럴까?
회사에 보면 늘 바빠 보이는 사람이 있다.출근하자마자 정신없이 회의 잡고, 쉴 틈 없이 메신저를 주고받고, 칼퇴는커녕 야근도 잦다.그런데 이상하게도 그 사람의 이름은 성과 회의나 칭찬 자리에서 좀처럼 등장하지 않는다.왜 그럴까?열심히 하는데 왜 성과가 안 나오는 걸까?오늘은 "성과 없이 바쁘기만 한 사람들"의 특징과 이유, 그리고그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한 팁까지 함께 정리해보려 한다.1. 바쁨 = 성실함이라는 착각많은 직장인들이 ‘바쁘게 움직이는 나’에 안도한다.출근하자마자 이메일 확인 → 회의 → 보고서 → 회의 준비 → 또 회의...하지만 정말 중요한 질문은 이거다.“지금 내가 하는 일이 진짜 필요한 일인가?”할 일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고 모든 일을 동일하게 대하는 순간,당연히 바빠지지만, 그 바쁨은..
2025.06.08 -
직장에서 자존감을 지키는 5가지 방법
직장에서 자존감을 지키는 건 생각보다 어렵다.업무 압박, 까다로운 상사, 비교되는 동료들 사이에서 우리는 매일 스스로를 의심한다.“나는 괜찮은 직원일까?”, “왜 나만 혼나는 걸까?”, “이 회사에 내가 필요할까?”이런 생각은 자존감을 조금씩 무너뜨린다.하지만 자존감이 낮아지면 일도 사람도 버겁게 느껴진다.결국 회사 생활 자체가 괴로워진다.그래서 오늘은 직장인으로서 자존감을 지키는 방법 5가지를 이야기해보려 한다.이 글이 당신의 마음을 단단하게 지켜주는 작은 참고서가 되었으면 좋겠다.1. 감정과 실력을 분리하라혼나는 것 = 못하는 사람이라는 뜻은 아니다.상사의 날카로운 말 한 마디에 며칠씩 우울해지는 건, 내 감정과 실력을 구분하지 못해서다.피드백은 나를 위한 것이지만, 말투나 표현 방식은 상대의 몫이다..
2025.06.08 -
이직 충동이 올 때 스스로에게 던져볼 5가지 질문
가끔, 정말 아무 이유 없이도 이직하고 싶을 때가 있다.회의하다가 문득,사무실 복도 걷다가 문득,“내가 여기서 뭐 하고 있는 거지?” 싶은 순간이 온다.그럴 땐 무작정 퇴사를 생각하기보다,먼저 나에게 질문을 던져보는 시간을 가져보자.그 충동이 일시적인 감정인지, 진짜 변화를 준비할 때인지 가려내는 게 먼저니까.첫 번째 질문"지금 이직 말고, 이 팀만 바뀌어도 괜찮을까?"회사 전체가 싫은 게 아닐 수 있다.지금의 사람, 분위기, 상사… 바뀌면 괜찮을 수도 있다.결국 ‘회사’가 아니라 ‘환경’ 때문에 지치는 경우가 많다.☑️ 이직이 아니라, 부서 이동이나 프로젝트 변경이 더 현실적인 대안일 수도 있다.두 번째 질문"나 지금 일에서 성장하고 있는가?"매일 바쁘게는 일하지만, 앞으로를 위한 성장은 없을 수도 있..
2025.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