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4)
-
EP.9 “영끌” 하지 않고 차곡차곡 모은 전세금
‘빚 없이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이렇게 준비했습니다’"어떻게 전세금 마련했어요?"첫 자취방 계약할 때, 가장 많이 들은 질문이었다.요즘엔 전세도 웬만한 금액이 아니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기)’을 고민해야 하는 시대지만,나는 무리한 대출 없이 차곡차곡 모아 전세보증금을 마련했다.그 과정을 조금 자세히 풀어보려 한다.📍 출발선은 평범했다나는 흔한 직장인이다.첫 월급은 200만 원대 중반, 사회 초년생의 흔한 소득이었다.하지만 자취를 목표로 두고 있었기에, 입사 초기부터 월세가 아닌 전세를 목표로 잡았다.그때부터 내가 한 일은 단순했다.바로, **‘영끌 대신 시간 분할’**이었다.1. 목표 금액 설정부터 현실적으로전세 목표금액을 처음부터 1억 이상으로 잡지 않았다.내 연봉과 저축 가능 금액을 고려했을 ..
2025.06.13 -
우선순위 판단 기준 세우기 – 일 잘하는 사람의 핵심 사고 습관
직장인이 하루에 처리해야 할 업무량은 생각보다 많습니다.메일 확인, 회의, 보고서, 기획안 작성, 돌발 요청…하루가 순식간에 지나가 버리고, 퇴근길에 이렇게 생각합니다.“오늘도 진짜 열심히 일했는데… 왜 하나도 끝낸 게 없지?”이럴 때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것은 ‘내 집중력이 부족했나?’가 아니라,**“우선순위를 제대로 세웠는가?”**입니다.🔍 바쁜 것과 중요한 것은 다르다우리는 습관적으로 ‘지금 눈앞에 있는 일’, ‘누가 시킨 일’, ‘급해 보이는 일’부터 손을 댑니다.하지만 정작 중요한 일은 그렇게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스티븐 코비의 시간관리 매트릭스를 빌리자면,업무는 아래 4가지로 분류됩니다.중요하고 급한 일 – 당장 처리해야 하는 보고서, 클라이언트 응답중요하지만 급하지 않은 일 – 전략..
2025.06.13 -
자료정리의 기술 – 정리가 곧 실력이다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하루에도 수십 개의 문서와 메일, 보고서, 파일들을 마주하게 됩니다.처음엔 “머릿속에 다 기억하지!”라고 생각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이렇게 됩니다.“그 보고서 어디 있었더라?”“작년 이맘때 만든 자료인데 찾을 수가 없네…”“파일은 많은데 뭐가 최신이지 모르겠어.”“이거, 나 예전에 정리해놨던 거 같은데…?”자료를 정리하지 못하면같은 일도 두 번 세 번 하게 되고,업무의 속도와 질이 떨어지게 됩니다.그리고 무엇보다 무서운 건,‘정리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6개월만 지나도 실력 차이가 난다는 것입니다.💡 정리가 곧 실력이다자료정리의 기술은 단순히 파일 폴더 정리의 문제가 아닙니다.그 사람의 업무 이해도, 논리력, 습관, 사고의 깊이가 드러나는 지점입니다.잘 정리된 자료는 다..
2025.06.12 -
EP.8 비상금 통장은 왜 별도로 관리해야 할까 – 나를 지켜주는 마지막 방어선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월급은 들어오고,나름 소비 계획도 짜고,적금도 붓고,ETF도 하고,연말정산도 잘 챙긴다.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생각지도 못한 돈”이 필요해질 때가 온다.치아가 갑자기 부러져서 치료비가 70만 원친구 결혼식이 겹쳐서 축의금만 30만 원회사에서 갑자기 노트북을 자비로 교체해야 한다고 할 때부모님 병원비를 급하게 보내야 할 때이럴 때 당신은 어디서 돈을 꺼낼 것인가?💣 예적금 깨기 전에, 비상금이 있어야 한다보통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어쩔 수 없으니 적금 하나 깨야지...”“주식 계좌에서 좀 빼야겠네...”“신용카드로 긁고 나중에 갚자.”하지만 이러면 어떤 일이 생길까?어렵게 모은 저축 구조가 무너진다투자 타이밍과 상관없는 비합리적인 매도를 하게 된다카드 빚이 쌓이며..
2025.06.12 -
EP.7 보너스가 들어왔을 때 하는 루틴 – 그 돈, 어디로 사라졌는가?
보너스.기분 좋은 단어다.카카오뱅크에 “OO회사 급여 외 수입 입금”이라는 알림이 떴을 때,머릿속은 벌써 바쁘다.“한우 먹을까, 백화점 가볼까, 여행 한 번 갈까?”기분 좋은 계획들이 튀어나온다.그런데 이상하게도,보너스를 받으면 더 빨리 돈이 사라진다.내 월급은 30일을 버티는데, 보너스는 일주일도 못 간다.왜일까?그래서 나는 어느 순간부터 ‘보너스 루틴’을 만들었다.보너스를 보너스답게 쓰되,**흐름을 통제하는 ‘습관화된 처리법’**을 갖는 것이다.✅ 1단계: 무조건 하루는 냅둔다 (심리적 거리두기)보너스 입금 알림이 뜨면,“바로 쓰고 싶다”는 충동이 먼저 온다.이때 하는 건 단 하나.하루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냥 두는 것.왜?심리학적으로 돈이 생기면, 뇌는 ‘예산이 생겼다’고 착각한다.즉,"이 돈은 ..
2025.06.12 -
일처리를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 습관
회사에서 인정받고 싶다면 딱 두 가지 역량이 핵심이다.빠르게 처리하는 능력과 정확하게 처리하는 능력.이 두 가지는 결국 **‘신뢰’**로 이어진다.일처리를 잘하면 불필요한 확인 절차가 줄어든다.상사도 믿고 맡기게 되고, 동료도 같이 일하길 좋아하게 된다.하지만 현실은 어떨까?급하게 하다 보면 실수가 잦고, 꼼꼼히 하자니 시간이 오래 걸린다.그래서 많은 직장인들이 '빠르고 정확하게'를 동시에 잡는 걸 어렵게 느낀다.나 역시 신입 시절엔 엉망이었다.보고서 하나 쓰는 데 반나절이 걸리고, 막상 내면 빠진 내용 투성이라 지적을 받기 일쑤였다.그런 나도 몇 가지 습관을 통해 지금은 "일 깔끔하게 잘한다"는 말을 듣는다.오늘은 내가 실무에서 만들어낸 **‘일처리를 빠르고 정확하게 하는 습관’**들을 공유하려고 한다..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