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2. 17:15ㆍ제테크/돈 관리
오늘은 저축을 쉽게 하는 방법을 공유하고자 한다.
참고로, 실제 내가 돈을 모으는 방법이며 이 과정은 쉽지않다.
1. 돈을 잘 모으기 위해서는 돈에 대해 신경쓸 일을 줄여야한다.
2. 돈에 대해 신경쓸 일을 줄인다는 것은 통장 쪼개기가 필수이다.
3. 하지만, 통장을 너무 많이 개설하면 그 조차 번거로워 시작하지 못한다.
4. 그래도 최소한 아래의 통장 정도는 개설해두고, 자동 이체를 통해 돈에 대한 신경을 최대한 줄이자.
5. 아래의 통장에 대한 혜택들과 추천 통장은 다음 글에서 설명할 예정이다.
-청약
-ISA(or 일반 증권 계좌)
-개인연금
-개인 용돈(CMA추천 : 약 연 3%)
6. 예시는 2가지 Case로 분리해서 만들 생각이다.
7. 물론, 평범한 직장인 기준이며 예시는 2025년 대한민국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할 것이다.
8. 중위소득자란 - 대한민국 100명 중 50등에 해당하는 자의 소득이다.(2025년 기준 239.2만원)
Case1. 부모님 집에 거주(집세, 관리비 등이 나가지 않는다)
1.청약(10만원)
-민간분양주택, 공공분양주택을 모두 지원하기 위해서 횟수로 인정되는 금액이다.
-공공분양주택만을 원한다면 2만원만 넣어라.
-2025년 기준 25만원이 되었지만, 어짜피 25만원 씩 넣어도 앞선 사람을 따라가지 못한다.
-소득 공제가 연 입금 금액의 40%가 된다.
-연 120만원을 넣으면 48만원이 소득공제다.
2. ISA(120만원)
-ISA는 국내 주식을 저렴한 수수료 및 세율로 거래할 수 있는 계좌다.
-해외 직투는 안되나, 해외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꾸준하게 구입해 묵혀두어라.
-1년에 1500만원 이상은 고스란히 모인다.
3. 개인연금(30만원)
-개인 연금은 세액공제가 소득에 따라 12~15%이다.
-연 360만원을 넣으면 42.2~54만원을 돌려받는다.
-한 마디로 내가 투자를 안해도 계좌에 넣어놓는 것으로 연 수익 12~15%짜리 계좌라는 것이다.
-간혹, 목돈이 묶인다는 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30만원으로 일상생활에 큰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정신차려라.
4. 개인 용돈(80만원)
-개인이 한 달에 80만원을 쓴다는 건 적지않은 비용이다.
-이게 적다고 느껴진다면 본인의 소비 습관을 되돌아봐라.
-내가 생각하는 필수 소비는 의.식.주 이다.
- 옷 20만원, 식비 40만원, 기타 만남 20만원 정도면 한 달 넉넉하다.
Case2. 전/월세 거주
수도권 기준 평범한 원룸에 산다면, 사실상 저축이 어렵다.
하지만, 60만원 정도로 관리비+월세는 충분히 살만하다.
1.청약(10만원)
2. ISA(90만원)
3. 개인연금(30만원)
4. 개인 용돈(50만원)
-자취를 하게되면 식비는 능력껏 충분히 줄일 수 있다.
- 옷 10만원, 식비 30만원, 기타 만남 10만원 정도면 한 달 넉넉하다.
5. 월세+관리비(60만원)
***결론***
1년 예상 저축 금액은 아래와 같다.
단순 계산이며, 안전한 해외 지수 추종 자산을 거래하면 연 5~10%는 껌이다.
Case1 : 청약(10*12) + ISA(120*12) + 개인연금(30*12) = 1920
Case2 : 청약(10*12) + ISA(90*12) + 개인연금(30*12) = 1560
이게 월 239.2만원 버는 직장인의 저축 가능 금액이다.
이 정도면 정말 훌륭한 저축이지않을까 싶다.
'제테크 > 돈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6 적금보다 ETF를 선택한 이유 (6) | 2025.06.11 |
---|---|
EP5. 1년 동안 돈을 모으기 위해 끊은 것들 (33) | 2025.06.11 |
EP.4 돈을 아끼는 것보다 ‘흘러나가는 돈’ 잡기 (4) | 2025.06.09 |
EP3. 통장 쪼개기, 실패와 성공 사례 – ‘돈이 흐르지 않게 통제를 배운 과정’ (0) | 2025.06.09 |
EP2. 월급날 자동이체 루틴 만들기 – ‘신경 안 써도 돈이 모이게’ (0) | 2025.06.09 |